게임을 만드는 것에 관심 있는 분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사람들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
게임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이 필요한데 크게 놔누면 이러한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 운영 직군
- 기획 직군
- 기술 직군
- 테스터 직군
- 아트 직군
먼저 운영 직군들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게임 프로듀서
게임 프로듀서란 게임을 제작하는데 모든 과정을 총괄하는 사람을 뜻 합니다. 시작하는 것 부터 마무리 하는 것 까지 시나리오 기획, 개발, 그래픽, 사운드, 테스터 등 모든 과정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가 게임을 만들어 나가는 사람이 프로듀서 입니다.
이러한 프로듀서는
- 게임이 시장에서 통할지 고려를 함
- 게임의 비전을 제시해 나가며 사람들을 이끌어 나감
- 일정과 인력을 알맞게 구성
위와 같은 역할을 잘 해내는 프로듀서가 좋은 프로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임 디렉터
게임 디렉터란 프로듀서와 하는일이 비슷하지만 좀더 게임을 만들어 나가는데에 집중을 하는 감독의 역할을 합니다. 프로듀서가 기획 투자부터 마케팅 홍보까지 전반적인 분야를 아우른다면, 게임 디렉터는 게임을 완성하는데에만 집중을 합니다.
이러한 게임 디렉터는
- 게임 개발
- 게임 연출
- 게임 디자인
- 게임 기획
들을 일선에서 진두지휘 하며 게임을 만들어 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는 기획 직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 기획자(시스템 디자이너)
시스템 기획자는 게임의 주요 시스템이나 콘텐츠를 구상하고 기획합니다. 이러한 콘텐츠의 하부에는 시스템 디자인이 필요한데 이러한 부분까지 구상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러한 시스템 기획자는
- 게임의 시스템 기획
- 콘텐츠 기획
- 시스템 디자인 구상
- 시스템 디자인에 따른 데이터 정리
-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의 의견을 조율
위와 같은 역할을 맡습니다. 시스템 기획이 잘되어 있어야 개발하고 디자인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레벨 기획자(레벨 디자이너)
레벨 기획자는 게임의 맵, 레벨 등을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게임 전체의 콘텐츠 소비속도나, 난이도 들을 계산하고 플레이어들이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이벤트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레벨 기획자는
- 플레이어들의 레벨에 따른 플레이 범위를 기획
- 게임의 맵, 레벨 등을 설계
- 콘텐츠 구성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직접적으로 재미와 오락을 선사하는 기획자 역할을 맡습니다.
시나리오 기획자(시나리오 라이터)
시나리오 기획자는 게임의 배경 설정과 스토리를 만듭니다. 게임의 전체적인 부분을 파악 하고, 세계관을 만들어 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시나리오 기획자는
- 세계관 설정
- 세계관에 맞는 스토리 생성
- 스토리에 따른 대사 생성
들을 맡아 플레이어들이 몰입 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어 나갑니다.
다음으로는 기술 직군을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는 플레이어들이 직접 보는 게임의 화면들을 만듭니다. 물리적인 동작이나 게임의 이벤트들을 엔진을 통해 구현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는
- 로직 구현
- 인터페이스 구현
- 맵, 캐릭터, 이펙트, 애니메이션, 스킬 등을 구현
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통해 게임을 표현하고 플레이들이 움직일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갑니다.
서버 프로그래머
서버 프로그래머는 게임의 멀티플레이를 위해 서버를 개발합니다. 간단한 게임에서는 랭킹이나 소셜 정보등을 구현하며, 대규모 RPG 게임에서는 플레이어의 움직임, 전투, 시스템 등을 처리하는 서버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서버 프로그래머는
- 클라이언트의 버전 별 업데이트
- 클라이언트가 게임 서버에 접속할때 진행하는 절차 정의
- 통신 중계
- 비즈니스 로직 구현
등을 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러한 서버 프로그래밍을 통해 가상세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툴 프로그래머
툴 프로그래머란 게임을 만들어 나갈때 필요한 툴들을 전문적으로 개발해나갑니다.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인하우스 툴들을 만들어 리소스들을 개선하고 발전해 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툴 프로그래머는
- 게임 개발에 필요한 툴을 개발
- 디자인 편집 툴 개발
- 기획 및 시나리오 이벤트 편집 툴 개발
등을 통해 많은 역할군이 일을 좀더 편리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툴을 만들어 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 프로그래머
엔진 프로그래머는 게임에 들어가는 엔진을 개발해내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엔진으로는 유니티나 언리얼이 있지만 회사내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엔진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을 엔진 프로그래머라고 합니다.
이러한 엔진 프로그래머는
- 게임에 맞는 엔진을 개발
- 물리계산 속도 개선
- 게임 최적화 작업
같은 작업을 통해 물리 동작을 만들어내고 그래픽 최적화 작업들을 해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는 테스터 직군을 알아보겠습니다.
게임 QA
게임 QA는 게임의 리스크를 줄여서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요. 기획서를 바탕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테스트 케이스를 토대로 게임을 플레이해 버그나 기획에 맞지 않는 상황을 잡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게임 QA는
- 개발에 대한 피드백
- 테스트 케이스 작성
- 테스트
- 버그 리포트 작성
같은 작업을 통해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 하기전에 먼저 크리티컬한 버그들고 상황을 잡아내어 더욱 쾌적한 게임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는 아트 직군을 알아보겠습니다.
컨셉 아티스트
게임 아트 디자이너는 보통 원화가라는 이름으로 캐릭터, 무기, 몬스터 등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획자가 구성한 기획서를 바탕으로 게임에 적합한 리소스들을 제작합니다.
이러한 컨셉 아티스트는
- 캐릭터/몬스터/무기 디자인
- 배경 디자인
- 오브젝트 디자인
등을 통해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게임에 대한 외적인 모습을 화려하게 만들어주고 세상을 그려나가는 역할을 합니다.
테크니컬 아티스트
테크니컬 아티스트란 아티스트와 프로그래머의 중간역할을 하며 서로를 조율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크니컬 아티스트는 디자인 감각과 프로그래밍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테크니컬 아티스트는
- 아트 컨텐츠 개발에 대한 가이드 설정 및 문서화
- 파이프라인 개발
- 라이팅 개발
등을 맡아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 사이에 의견을 줄여주며 그래픽적인 부분을 직접 개발하는 역할 또한 맡습니다.
비주얼 이펙터
비주얼 이펙터는 게임 안에 물이나 불같은 것들은 비주얼적으로 살려주는 효과와 스킬 효과들을 넣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비주얼 이펙터는
- 스킬 이펙트 제작
- 배경 이펙트 제작
등을 통해 게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살려주고 게임을 풍성하게 만들어 줍니다.
애니메이터
애니메이터는 캐릭터가 걷고, 뛰고, 날고, 구르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맡습니다. 게임에 개성, 사실성, 상호작용성을 추가하는 작업을 맡습니다.
이러한 애니메이터는
- 모델링
- 리깅
- 리소스 제작
등을 통해 캐릭터들을 표현하고 게임에서 사물들이 움직이는 동작들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상으로 게임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사람들을 알아봤습니다!
게임을 하나 만드는데 이러한 사람들이 꼭 있어야 하진 않겠지만 하나하나 모두 모여서 만든다면 더욱 좋은 퀄리티에 게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언트 개발자의 역할 (2) | 2023.12.10 |
---|---|
클라우드 게임에 대하여 (4) | 2023.11.20 |
[오류] Outlook 서명 저장 오류 (0) | 2021.05.28 |